Skip to main content

포트폴리오 겸 블로그로 docusaurus를 선택한 이유

블로그 + 포트폴리오로 docusaurus를 이용해서 만든 이유부터 그 과정을 이야기 해보는 글

블로그 유목민

원래는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쓰고 있었다. 티스토리도 깔끔했지만 TOC가 필요했었는데, 내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테마에는 TOC가 없어서 jQuery로 붙여 썼었다. 그리고 메인화면만큼은 커스텀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다. 그렇지만 티스토리에서는 내가 선택한 테마에서는 구현하기가 불가능했고, 다른 서비스들을 이용해서 블로그를 만들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Jekyll 테마를 이용해서 블로그를 만들어 볼 기회가 생겼다. Jekyll로 블로그를 만들었지만, SPA 특유의 페이지 넘김이 사용성에 있어서 좋다는 판단이 들었고, SPA 블로그면서도 React기반의 서비스를 찾기 시작했다.

내가 필요한 기능

  • TOC 기능
  • markdown으로 글을 정리하고 싶었다.
  • github 블로그

docusaurus를 선택한 이유

특히 리액트를 이용한 서비스가 없을까 고민했다. 리액트를 이제 막 배우기도 했고 유지보수하며 감을 잡기 위해서다. 검색해보다 Docusaurus으로 블로그 개발 및 마이그레이션 후기라는 글을 보게 되었고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들이 모던하고 깔끔해 선택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포트폴리오로도 활용하고 기술블로그로도 라우터를 추가해 활용하고 싶었기 때문에 docusaurus가 제공하는 기본기능은 더할나위 없이 내 니즈에 맞았다. 또한 mdx를 통해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배운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하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